반응형
간호간병통합병동은 보호자가 상주할 필요 없이 병원의 전문 간호 인력이 24시간 간병을 제공합니다.
환자는 보다 체계적인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으며, 보호자의 간병 부담도 줄어드는 장점이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대한민국 주요 병원의 간호간병통합병동 운영 현황, 병상 수 및 진료과 정보를 소개합니다.
1. 간호간병통합병동이란?
보건복지부 인증을 받은 병원에서 운영하는 간병이 포함된 입원 시스템입니다. 간호사가 24시간 간병을 제공하며, 보호자가 병실에 상주할 필요 없이 환자를 돌볼 수 있습니다.
- 간호간병통합병동의 주요 특징
- 병원 내 전문 간호 인력이 24시간 간호 서비스 제공으로 간병까지 담당합니다.
- 보호자가 병실에서 숙박하거나 교대할 필요 없어 보호자의 부담이 감소합니다.
- 감염 예방 및 전문적 치료 가능가 가능하여 의료 질 향상합니다.
- 건강보험 적용으로 일반 병실에서 간병인을 사용하는 것보다 낮은 비용으로 간병 서비스를 이용 가능합니다.
2. 대한민국 간호간병통합병동 운영 병원
※ 병원별 간호간병통합병동 운영 여부는 변동될 수 있으므로, 입원 전 반드시 해당 병원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BIG5 병원의 간호간병통합병동 병상 수 및 운영 진료과
- 서울아산병원: 400병상 운영 (신경과, 정형외과, 소화기내과, 심장내과)
- 삼성서울병원: 350병상 운영 (종양내과, 신경외과, 호흡기내과, 재활의학과)
- 서울대병원: 320병상 운영 (내분비내과, 혈액종양내과, 신장내과, 정형외과)
- 세브란스병원: 280병상 운영 (심장외과, 척추센터, 재활의학과, 신경과)
- 서울성모병원: 300병상 운영 (심장내과, 소화기내과, 신경외과, 혈액내과)
수도권 주요 간호간병통합병동 운영 병원
- 고려대 안암병원: 250병상 운영 (신경과, 내분비내과, 호흡기내과)
- 강남세브란스병원: 220병상 운영 (정형외과, 심장내과, 재활의학과)
- 분당서울대병원: 260병상 운영 (신경외과, 내분비내과, 종양내과)
- 인천성모병원: 200병상 운영 (소화기내과, 신장내과, 심장내과)
지방 주요 간호간병통합병동 운영 병원
- 부산대학교병원: 270병상 운영 (신경외과, 호흡기내과, 재활의학과)
- 전남대학교병원: 240병상 운영 (심장내과, 정형외과, 내분비내과)
- 경북대학교병원: 230병상 운영 (신경과, 혈액종양내과, 내분비내과)
- 충북대학교병원: 180병상 운영 (호흡기내과, 신장내과, 신경외과)
3. 간호간병통합병동 선택 시 고려할 점
- 병동 운영 형태 및 간호 인력
- 간호사 대 환자 비율
병원별로 간호간병통합병동의 간호사 대 환자 비율이 다를 수 있습니다. 환자의 중증도와 필요한 간호 수준을 고려하여 적절한 비율인지 확인해야 합니다. - 간호조무사 인력
간호조무사의 역할 범위와 인력 구성도 중요합니다. 간호사와 간호조무사의 협업 시스템이 잘 갖춰져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- 병동 운영 시간 및 시스템
24시간 간호가 제공되는지, 응급 상황 발생 시 대처 시스템은 어떻게 되는지 등을 확인해야 합니다.
- 간호사 대 환자 비율
- 질환 및 건강상태
- 입원 대상 질환
모든 질환의 환자가 간호간병통합병동에 입원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. 자신의 질환이 입원 대상에 해당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- 건강상태
중증 환자의 경우 간호간병통합병동이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 의료진과 상담하여 환자의 상태에 맞는 병동을 선택해야 합니다.
스스로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환자에게는 간호간병통합병동이 더 적합할 수 있습니다.
- 입원 대상 질환
- 병동 환경
- 시설 및 장비
환자 편의를 위한 시설 (개인 사물함, TV 등)과 안전을 위한 장비 (낙상 방지 시설 등)가 잘 갖춰져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- 위생 관리
감염 예방을 위한 위생 관리 시스템이 철저하게 운영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- 병동 분위기
환자들이 편안하게 치료에 집중할 수 있는 쾌적하고 안정적인 분위기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.
- 시설 및 장비
- 비용
- 추가 비용 발생 여부
간호간병통합병동은 일반 병실보다 비용이 추가될 수 있습니다. 추가 비용 발생 여부와 금액을 미리 확인해야 합니다. - 보험 적용 여부
실손 보험 등 가입된 보험에 따라 비용 지원이 가능할 수 있으므로, 보험사에 문의하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.
- 추가 비용 발생 여부
반응형